데이터 정의 언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이터 정의 언어(DDL)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정의하고 수정하는 데 사용되는 구문이다. Codasyl 데이터베이스 모델에서 처음 소개되었으며, SQL의 하위 집합으로 테이블, 열, 데이터 유형 및 제약 조건을 선언하는 데 사용된다. SQL의 주요 DDL 기능에는 CREATE, DROP, ALTER, TRUNCATE가 있으며, CREATE는 새로운 데이터베이스 객체를 생성하고, DROP은 기존 객체를 제거하며, ALTER는 객체를 수정하고, TRUNCATE는 테이블의 모든 데이터를 삭제한다. DDL은 SQL 외에도 XML, JSON, DFDL 등 다른 언어에서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데이터 모델링 언어 - 임베디드 SQL
임베디드 SQL은 호스트 프로그래밍 언어 내에 SQL 문을 삽입하여 데이터베이스와 상호 작용하는 기술로, 데이터베이스 액세스를 표준화하지만 보안 취약점과 이식성 저하의 단점도 가진다. - 데이터 모델링 언어 - SQL
SQL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관리하고 조작하기 위해 설계된 표준 프로그래밍 언어로서, 데이터 정의어, 데이터 조작어, 데이터 제어어를 포함하는 다양한 명령어 문법을 제공하며 ANSI와 ISO에 의해 표준으로 채택되었다. - SQL - 사용자 정의 함수
사용자 정의 함수는 프로그래밍 언어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직접 정의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코드 블록이다. - SQL - 임베디드 SQL
임베디드 SQL은 호스트 프로그래밍 언어 내에 SQL 문을 삽입하여 데이터베이스와 상호 작용하는 기술로, 데이터베이스 액세스를 표준화하지만 보안 취약점과 이식성 저하의 단점도 가진다.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 트랜잭션 처리
트랜잭션 처리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한 기술이며, ACID 속성을 통해 데이터 정확성을 유지하고 롤백, 데드락 처리 등의 기술을 활용한다.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 저장 프로시저
저장 프로시저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SQL 문들을 미리 컴파일하여 저장하고, 모듈화, 보안성, 성능 향상, 유지보수 용이성과 같은 특징을 가지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마다 구현 방식과 지원하는 언어가 다를 수 있는 코드 묶음이다.
데이터 정의 언어 |
---|
2. 역사
데이터 정의 언어(DDL) 개념과 이름은 Codasyl 데이터베이스 모델과 관련하여 처음 소개되었으며, 여기서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는 사용자 데이터 모델의 레코드, 필드, 세트를 설명하는 언어 구문으로 작성되었다.[1] 이후 DDL은 테이블, 열, 데이터 타입 및 제약 조건을 선언하기 위한 구조적 질의어 (SQL)의 하위 집합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SQL-92는 스키마를 조작하는 언어와 스키마를 쿼리하는 스키마 정보 테이블을 도입했다.[2] 이러한 정보 테이블은 SQL:2003에서 SQL/스키마로 지정되었다. DDL이라는 용어는 데이터 또는 정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든 형식 언어를 지칭하는 일반적인 의미로도 사용된다.
데이터 정의 언어(DDL)는 구조적 질의어(SQL)의 하위 집합으로, 테이블, 열, 데이터 타입 및 제약 조건을 선언하는 데 사용된다. SQL-92에서는 스키마를 조작하는 언어와 스키마를 쿼리하는 스키마 정보 테이블이 도입되었다.[2]
3. SQL (Structured Query Language)
SQL은 테이블이나 다른 요소의 정의를 추가, 변경 또는 삭제하여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를 수정하는 명령형 동사 집합을 사용하며, 이러한 문은 다른 SQL 문과 자유롭게 혼합될 수 있어 DDL은 별도의 언어가 아니다.
3. 1. CREATE 문
`CREATE` 명령어는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인덱스, 저장 프로시저를 새로 만드는 데 사용된다.
SQL의 `CREATE` 문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에서 구성 요소를 생성한다. SQL 1992 사양에서 생성할 수 있는 구성 요소 유형은 스키마, 테이블, 뷰, 도메인, 문자 집합, 데이터 정렬, 번역 및 어설션이다.[2] 많은 구현에서 구문을 확장하여 인덱스 및 사용자 프로필과 같은 추가 요소를 생성할 수 있다. PostgreSQL 및 SQL Server와 같은 일부 시스템에서는 `CREATE` 및 기타 DDL 명령을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 내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롤백될 수 있다.[3][4]
3. 1. 1. CREATE TABLE 문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CREATE` 명령은 `CREATE TABLE` 명령이다. 일반적인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text
CREATE TABLE '[테이블 이름]' ( '[열 정의]' ) '[테이블 매개변수]'
```
열 정의는 다음과 같다.
몇 개의 열이 있는 `employees`라는 테이블을 만드는 예시 명령문은 다음과 같다.
```sql
CREATE TABLE employees (
id INTEGER PRIMARY KEY,
first_name VARCHAR(50) not null,
last_name VARCHAR(75) not null,
mid_name VARCHAR(50) not null,
dateofbirth DATE not null
);
```
일부 형태의 `CREATE TABLE DDL`은 SQL의 `CREATE TABLE AS SELECT`(CTaS) 구문과 같이 DML (데이터 조작 언어)과 유사한 구조를 통합할 수 있다.[5]
3. 2. DROP 문
SQL에서 DROP 문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에서 구성 요소를 제거한다. 삭제할 수 있는 객체의 유형은 사용 중인 RDBMS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은 테이블, 사용자 및 데이터베이스의 삭제를 지원한다. 일부 시스템(예: PostgreSQL)에서는 DROP 및 기타 DDL 명령을 트랜잭션 내에서 실행하여 롤백할 수 있다.
일반적인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 DROP ''객체 유형'' ''객체 이름''.
예를 들어, '''employees'''라는 테이블을 삭제하는 명령은 다음과 같다.
```sql
DROP TABLE employees;
```
''DROP'' 문은 ''DELETE'' 및 ''TRUNCATE'' 문과는 구별된다. ''DELETE''와 ''TRUNCATE''는 테이블 자체를 제거하지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DELETE'' 문은 데이터베이스에 테이블 자체를 남겨둔 채 테이블에서 일부 (또는 모든)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지만, ''DROP'' 문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전체 테이블을 제거한다.[1]
3. 3. ALTER 문
`ALTER` 문은 기존 데이터베이스 객체를 수정하는 데 사용된다.
SQL에서 `ALTER` 문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에 있는 객체의 속성을 변경한다. 변경할 수 있는 객체의 유형은 사용 중인 RDBMS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형식을 따른다.
`ALTER` ''객체 유형'' ''객체 이름'' ''매개변수''.
예를 들어, '''sink'''라는 테이블에 '''bubbles'''라는 열을 추가했다가 제거하는 명령은 다음과 같다.
```sql
ALTER TABLE sink ADD bubbles INTEGER;
ALTER TABLE sink DROP COLUMN bubbles;
3. 4. TRUNCATE 문
`TRUNCATE` 문은 테이블의 모든 데이터를 삭제하는 데 사용된다. DELETE 문보다 훨씬 빠르다.[1]
```sql
TRUNCATE TABLE 테이블_이름;
3. 5. 참조 무결성 관련 문
SQL에서 사용되는 DDL 문장은 참조 무결성 관계를 정의하는 데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테이블의 일부 열에 기본 키와 외래 키 태그로 구현된다. 이 두 문장은 `CREATE TABLE` 또는 `ALTER TABLE` 문장에 포함될 수 있다.
4. 기타 언어
참조
[1]
서적
The Codasyl Approach to Data Base Management
https://archive.org/[...]
Wiley
[2]
웹사이트
Information Technology - Database Language SQL
http://www.contrib.a[...]
Carnegie Mellon
2018-11-12
[3]
웹사이트
Transactions (Transact-SQL)
https://docs.microso[...]
Microsoft
2018-11-12
[4]
웹사이트
PostgreSQL Transactions
https://www.postgres[...]
PostgreSQL
2013-02-07
[5]
서적
The Definitive Guide to SQLite
https://books.google[...]
Apress
2012-1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